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최고 기사 결정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1년 창설한 여자바둑기전에 대한 내용은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 문서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번 문단을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주최, 주관재단법인 한국기원
후원인포벨(쏘팔코사놀)[1]
주관방송사파일:K바둑 로고.png
상금우승 7000만원, 준우승 2000만원
(본선 대국료 : 승자 150만원 / 패자 80만원)
대회방식1기 : 본선 8인 풀리그(7라운드 28경기), 결승 5번기
2기 ~ : 본선 9인 풀리그(9라운드, 36경기), 도전 5번기[2]
자격1기 : 한국 1 ~ 8위 선수 (2020년 1월 기준)
2기 : 직전 대회 우승자(도전기 직행) / 직전 대회 2 ~ 5위 / 선발전 통과 4인 / 와일드카드 1인
3기 ~ : 직전 대회 우승자(도전기 직행) / 직전 대회 준우승자, 풀리그 2 ~ 4위 / 선발전 통과 4인 / 와일드카드 1인
대국 규정제한시간 각자 2시간, 1분 초읽기 3회.
계가한국룰 덤 6.5집

1. 개요
2. 역대 대회 일람
2.1. 제1회 대회 (2020년)
2.1.1. 리그
2.1.2. 결승
2.2. 제2회 대회 (2021년)
2.2.1. 선발전
2.2.2. 본선
2.3. 제3회 대회 (2022년)
2.3.1. 선발전
2.3.2. 본선
2.4. 제4회 대회 (2023년)
2.4.1. 선발전
2.4.2. 본선



1. 개요[편집]


한국기원 주관 바둑 기전. 한국 바둑 최고수 9명이 대결하는 대회이다.
리그전으로 치러지기 때문에 한 명이 최소 8경기를 하게 된다. 초대 대회에서는 한국랭킹 1~8위 선수 8명을 초청전 형식으로 진행하여 그 중 1위와 2위가 결승에서 대결했으며, 2기 대회부터 전기시드 4인과 예선통과자 4인, 와일드카드 1명으로 9인 풀리그체제로 자리잡았다. 결승은 전기 우승자와 풀리그 1위가 5번기로 진행하는 도전기를 도입했다.
[1] 2023년 부터는 시니어바둑리그 타이틀 스폰서도 맡고 있다.[2] 다승 → 승자승 → 해당 월 랭킹 순을로 순위 산정(단, 결승 혹은 차기 시드가 걸린 상황에서 동률 발생시에는 무조건 동률 재대국을 실시한다.) + 도전기(직전 대회 우승자 vs 리그 1위)


2. 역대 대회 일람[편집]


  • 진행이 완료된 대회는 스포일러 방지를 위해 모든 문단은 접은 채 운영됩니다.

2.1. 제1회 대회 (2020년)[편집]



2.1.1. 리그[편집]


대국일자대진결과[3]
1월 27일신진서신민준흑 불계승
1월 28일박정환박영훈흑 불계승
2월 3일변상일강동윤흑 불계승
2월 4일이동훈김지석백 불계승
2월 11일이동훈신민준백 불계승
2월 17일김지석박정환흑 불계승
2월 18일박영훈변상일백 불계승
2월 24일강동윤신진서흑 불계승
2월 25일김지석신민준흑 불계승
3월 2일박정환이동훈백 불계승
3월 3일신진서변상일백 불계승
3월 10일박영훈강동윤흑 불계승
3월 9일
(일정변경)
박정환변상일백 불계승
3월 16일김지석강동윤흑 불계승
3월 17일박영훈이동훈흑 불계승
3월 23일신진서이동훈흑 불계승
3월 24일신민준변상일흑 불계승
3월 30일박정환강동윤흑 1집반승
3월 31일김지석변상일백 불계승
4월 6일신민준박영훈백 불계승
4월 7일신진서김지석흑 불계승
5월 4일박정환신민준흑 불계승
5월 5일강동윤이동훈흑 불계승
5월 11일신진서박영훈백 불계승
5월 12일이동훈변상일백 불계승
5월 18일신민준강동윤백 불계승
5월 25일신진서박정환흑 불계승
5월 26일김지석박영훈백 불계승

제1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최종 순위표
순위기사명비고[4]결과
1신진서61결승 진출
2박정환52
3신민준43승자승 1승차기 본선시드
4김지석43승자승 1패
5변상일34
6이동훈25승자승 2승탈락
7강동윤25승자승 1승 1패
8박영훈25승자승 2패
초록색 : 차기 본선 시드 확보


2.1.2. 결승[편집]


제1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결승 5번기
신진서 (풀리그 1위) 3 : 0 박정환 (풀리그 2위)
대국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6월 15일[5]신진서박정환177수 흑 불계승
2국6월 22일[6]박정환신진서164수 백 불계승
3국6월 23일[7]신진서박정환211수 흑 불계승
4국-3:0 종료로 해당사항 없음
5국-
우승신진서 九단 (대회 초대 우승, 차기 대회 도전기 직행)

[3] 총 착수횟수는 제외[4] 승자승, 재대국 여부, 특이사항[5] 특별해설 박영훈[6] 특별해설 김지석[7] 특별해설 신민준


2.2. 제2회 대회 (2021년)[편집]



2.2.1. 선발전[편집]


1차 선발전은 참가선수가 243명으로 각조 단판토너먼트 형태로 치러진다.[8] 각자 1시간에 초읽기 1분 3회가 주어진다.

  • 1회전 1일차 중계대국은 3조의 김진휘 - 원성진 대국으로 김진휘가 승리하였다.
    1회전 2일차 중계대국은 1조 박하민 - 안성준 대국으로 안성준이 승리하였는데, 박하민은 3개월 반만의 대국이다(...)

  • 2회전 1일차 중계대국은 4조의 박진솔 - 박민규 대국으로 박진솔이 승리하였는데, 박민규는 해군 복무 중 선발전에 참가하였다.[9]
    2회전 2일차 중계대국은 6조의 최정[10]-홍기표 대국으로 홍기표가 승리하였다.

  • 3회전(=예선 64강) 1일차 중계대국은 3조의 설현준-허영호 대국으로, 이 대국의 승자인 설현준의 상대는 송지훈 六단이 되었다. 여자기사들 중에서는 김노경, 오유진, 오정아 3명만이 3회전에 진출하였다.
    농심배 3R이 끝난 뒤에 열리는 2일차 중계대국은 5조의 홍성지-박건호 대국으로, 이 대국의 승자인 박건호의 상대는 한상훈 八단이 되었다.

  • 4회전(=예선 32강) 1일차 중계 대국은 1조의 박승화-안성준으로, 이 대국의 승자인 박승화는 응씨배가 끝난 뒤의 3일차 중계대국인 강동윤-문민종의 승자인 강동윤과 대국한다.
    여자기사들 중에서는 오유진, 오정아 2명만이 4회전에 진출하였고, 오정아는 김성진에게 패배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생존자였던 오유진은 4회전 2일차(4조) 중계대국에서 결국 박진솔에게 불계패 엔딩으로 덜미를 잡혔다.
    이로 인해 결국 이번 대회에도 남자대회(?)[11]가 되었지만..
    박진솔은 다음 라운드에서 박영롱과 대국하게 된다.

  • 1차선발 최종라운드 1일차 중계대국은 3조의 이영구-설현준이며, 설현준이 흑 불계승을 거둠으로써 상대전적[12]와 이영구의 연승기록을 부수며 2차선발전 명단에 올랐다. 2일차 중계대국은 5조의 김명훈-박건호였고, 결과는 박건호의 백 불계승이다.
이후 일정으로는 4경기[13]가 동시 진행되는 3일차 이후, 1조 박승화-강동윤 대국과 8조 강승민-금지우의 대국 순으로 5일차까지 진행된다. 결과는 순서대로 박진솔/이창석/강승민 흑 불계승, 한상조/안정기/강동윤 백 불계승.

최종선발전인 2차 선발전은 1차선발 상위 8인(강동윤, 이창석, 설현준, 박진솔, 박건호, 한상조, 안정기, 강승민) 이 더블 일리미네이션 형태로 치러지는데, 여기서는 각자 2시간에 초읽기 1분 3회가 주어진다.

  • 조 편성
    • 1조 : 강동윤, 한상조, 이창석, 박건호
    • 2조 : 설현준, 강승민, 안정기, 박진솔

대국일정대진결과
1조1경기2020년 10월 5일강동윤한상조299수 흑 반집승
2경기2020년 10월 22일이창석박건호162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0년 12월 15일한상조이창석209수 흑 불계승
패자전2020년 10월 20일강동윤박건호182수 백 불계승
최종전2020년 12월 28일한상조강동윤200수 백 불계승
본선 진출

이창석(조 1위), 강동윤(조 2위) /
탈락

박건호(2패), 한상조(1승 2패)
2조1경기2020년 10월 6일박진솔안정기189수 흑 불계승
2경기2020년 10월 26일설현준강승민160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0년 11월 30일안정기설현준105수 흑 불계승
패자전2020년 11월 10일박진솔강승민339수 흑 반집승[14]
최종전2020년 12월 29일안정기강승민319수 흑 1집반승
본선 진출

설현준(조 1위), 강승민(조 2위) /
탈락

박진솔(2패), 안정기(1승 2패)


2.2.2. 본선[편집]



본선은 대회시드 4명[15](박정환, 김지석, 신민준, 변상일), 모든 선발전 통과자 4명(이창석, 강동윤, 설현준, 강승민), 와일드카드인 이창호의 구성으로 9인 풀리그로 치러지며 풀리그 1위가 디펜딩 챔피언 신진서와 도전기 5번기를 치르게 된다.

일정이 1월 13일 대진추첨식을 진행함과 동시에 유튜브 스트리밍 담당자로부터 오피셜이 나온 바(5R까지의 일정) 아래 표와 같이 일정이 나왔다. 1R 대진추첨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라운드에서 휴식을 갖는 선수들이 뽑은 대진 순번의 역순으로 지정됐다.

강동윤(1번) vs 변상일(2번)
신민준(3번) vs 설현준(4번)
김지석(5번) vs 이창호(6번)
강승민(7번) vs 박정환(8번)
이창석(9번/휴식)

제2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최종 순위표
순위기사명비고[16]결과
1박정환80풀리그 전승도전권 획득
2변상일71차기 본선시드
3강동윤62
4신민준44
5이창석35탈락
6강승민262R, 6R 승 / 9R 패
설현준263R, 9R 승 / 2R 패
김지석261R, 9R 승 / 3R 패
9이창호261R, 6R, 9R 패
초록색 : 차기 본선 시드 확보
[ 본선 풀리그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라운드
구분
휴식개시일자
(13시 시작)
대진결과
1R이창석1월 25일강동윤변상일160수 백 불계승
1월 26일신민준설현준179수 흑 불계승
1월 27일[1]김지석이창호329수 흑 1집반승
1월 28일강승민박정환84수 백 불계승
2R박정환2월 8일강동윤신민준98수 백 불계승
2월 9일김지석변상일165수 흑 불계승
2월 10일강승민설현준228수 백 불계승
2월 11일이창호이창석237수 흑 불계승
3R강승민3월 1일이창호강동윤179수 흑 불계승
3월 2일박정환변상일179수 흑 불계승
3월 3일신민준이창석192수 백 불계승
3월 4일김지석설현준185수 흑 불계승
4R이창호3월 8일강동윤강승민236수 백 불계승
3월 9일김지석이창석161수 흑 불계승
3월 10일변상일설현준253수 백 2집반승
3월 11일박정환신민준202수 백 불계승
5R김지석4월 5일[2]강동윤이창석140수 백 불계승
4월 6일강승민변상일199수 흑 7집반승
4월 7일이창호신민준128수 백 불계승
4월 8일박정환설현준187수 흑 불계승
6R설현준4월 26일이창호강승민194수 백 불계승
4월 27일이창석변상일283수 흑 불계승
4월 28일신민준김지석174수 백 불계승
4월 29일박정환강동윤142수 백 불계승
7R신민준5월 17일강승민이창석205수 흑 불계승
5월 18일변상일이창호281수 백 2집반승
5월 19일강동윤설현준169수 흑 불계승
5월 20일김지석박정환236수 백 불계승
8R변상일5월 24일이창호박정환171수 흑 불계승
5월 25일강동윤김지석160수 백 불계승
5월 26일신민준강승민106수 백 불계승
5월 27일설현준이창석194수 백 불계승
9R강동윤6월 14일이창호설현준138수 백 불계승
6월 15일변상일신민준199수 흑 불계승
6월 16일김지석강승민144수 백 불계승
6월 17일박정환이창석163수 흑 불계승

[1] 저녁 7시 30분에 바둑이 끝나 무려 6시간 30분이 걸렸다.[2] 이 날부터 K바둑에서 중간 광고 시간에 카타고 형세 그래프와 현재 바둑 상황이 표시되기 시작했다.


제2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도전 5번기
신진서 (타이틀 홀더) 3 : 2 박정환 (풀리그 1위)
대국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7월 5일[17]박정환신진서217수 흑 불계승
2국7월 6일[18]신진서박정환199수 흑 불계승
3국7월 8일[19]박정환신진서240수 백 불계승
4국7월 12일신진서박정환172수 백 불계승
5국7월 13일박정환신진서246수 백 불계승
우승신진서 九단 (타이틀 방어, 최고 기사 결정전 2연패)

결정전 자체는 도전기 방식으로 치러지는데, 전기 우승자인 신진서가 먼저 도착해 있다. 당연히 신진서는 본선에 참여할 일이 없는 관계로 본선의 대진추첨식에 나오지 않았는데, 이 때문에 중계스트리밍을 보고있던 바둑팬들 중에서 왜 안나왔지? 하는 반응이 있기도 했다.

본선 풀리그에서 박정환이 무패 행진을 달리면서 8라운드에서 남은 경기와 관계없이 신진서의 도전 5번기 상대로 결정됐다.[20] 본선 시드는 변상일과 강동윤이 좋은 성적을 내며 일지감치 확보를 했으며, 8라운드에서 신민준이 강승민을 꺾고 자력으로 마지막 시드 한 자리를 확보[21]함에 따라 도전기에서 준우승을 한 선수와 변상일, 강동윤, 신민준이 차기 대회에 시드를 받아 본선에 출전하게 된다.

도전 5번기에서는 신진서와 박정환이 격돌하며 많은 바둑팬들의 기대 속에 진행되었고 5국까지 가는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5국까지 펼쳐진 결과 전기 우승자인 신진서가 박정환을 3승 2패로 꺾으며 대회 2연패와 함께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8] 예선 16강까지 이에 해당[9] 현재 병장이다. 참고로 해군에서만 바둑병을 받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그렇다고 상무라는 명칭이 붙을 정도로 팀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다. 공군은 전에 e스포츠단을 꾸린 적 있지만 팀이 사라졌고, 상위개념인 국군은 이것을 제외하고 익히 알려진 대다수가 구기종목이다.(제2경기대)[10] 사실상 남자대회로 취급이 바뀌었어도, 여자기사들은 어찌되었든 참가한 것으로 보인다. 2회전에는 최정, 오유진, 이민진, 조승아, 김노경, 조연우, 박지은, 오정아, 허서현, 김수진이 2회전에 올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11] 바둑TV측 여자대회가 아직 결정된 바가 없지만 이렇게 표기하였다.[12] 3전 전패[13] 4조 박진솔-박영롱 대국을 포함한 3개 대국(2조 이창석-한웅규, 6조 김성진-한상조, 7조 강훈-안정기)[14] 이 대국을 보고 있는 바둑팬들 중에서는 선수층에 대한 불만까지 나오며 졸전을 펼쳤다는 반응이 있다.멸망전일 수도 있지(...)[15] 전 대회 준우승자 + 리그 3~5위[16] 승자승, 재대국 여부, 특이사항[17] 특별해설 이창석[18] 특별해설 변상일[19] 특별해설 신민준[20] 2위 변상일이 남은 경기를 이기고 박정환이 마지막 경기를 패해도 승자승 원칙(3라운드 박정환 승)에 따라 박정환이 1위가 된다.[21] 신민준이 9라운드에서 패해도 이창석이 남은 경기를 이기면 4승이 되어 동률이 되나 승자승 원칙(3라운드 신민준 승)에 따라 신민준이 차기 시드의 마지막 자리인 풀리그 4위를 확정했다.



2.3. 제3회 대회 (2022년)[편집]



2.3.1. 선발전[편집]


1차 선발전은 2021년 9월 2일부터 시작하며 참가선수가 221명으로 8개 조로 나뉘어 각조 단판토너먼트 형태로 치러진다. 각자 1시간에 초읽기 1분 3회가 주어진다. 예선전 시작일인 9월 2일에 1차예선 개막에 앞서 2기 대회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됐다.

  • 1차선발전에 출전한 선수들 중 랭킹 상위자(원성진, 안성준, 김명훈)와 지난 대회 9인풀리그 출전자(이창석, 강승민, 이창호, 김지석, 설현준)는 3회전 부터 시작한다.
  • 1회전 1일차 대국에서 허영호와 조승아의 대국이 방송중계로 진행되었다. 이 대국은 허영호의 흑 불계승으로 끝났다. 허서현-이호범, 문민종-전영규의 대국은 수순 중계되었는데 이호범(백 불계승)과 문민종(흑 불계승)이 각각 승리를 거뒀다.
  • 1회전 2일차 수순 중계로 조한승과 이현준의 대국이 중계되었는데 조한승 선수가 승리(흑 불계승)했다.
  • 이후에도 수순 중계가 진행된 이후 3회전 2일차부터 K바둑 측의 중계가 시작되었다.(이창호:현유빈의 대국으로 시작)
  • 1차 선발전 5회전까지 진행결과 1조 홍무진, 5조 위태웅, 6조 윤찬희, 7조 조한승, 8조 백현우가 2차 선발전에 진출했다. 2조(허영락-김진휘, 허영락 흑 불계승)는 11월 15일, 3조(이창석-문민종, 문민종 백 불계승)는 11월 16일, 4조(김지석-안조영, 김지석 백 불계승)는 11월 17일에 K바둑에서 방송 대국으로 진행됐다.

2차 선발전은 조별 더블엘리미네이션으로 진행하여 4명이 본선 무대에 진출한다. 2차 선발전에는 홍무진, 허영락, 문민종, 김지석, 위태웅, 윤찬희, 조한승, 백현우가 진출해서 본선 네 자리를 두고 경쟁하게 됐다. 참고로 지난 시즌 본선에 진출한 선수 중에는 김지석만이 유일하게 2차 선발전에 진출했다.
  • 조편성
    • 1조 : 김지석, 허영락, 홍무진, 위태웅
    • 2조 : 윤찬희, 문민종, 조한승, 백현우
대국일정대진결과
1조1경기2021년 11월 22일홍무진위태웅183수 흑 불계승
2경기2021년 11월 25일김지석허영락146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1년 12월 9일홍무진허영락168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1년 12월 6일위태웅김지석307수 백 반집승[22]
최종전2021년 12월 28일허영락위태웅136수 백 불계승[23]
본선 진출

홍무진(조 1위), 허영락(조 2위) /
탈락

김지석(2패), 위태웅(1승 2패)
2조1경기2021년 11월 23일조한승백현우338수 백 2집반승
2경기2021년 11월 24일윤찬희문민종210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1년 12월 7일조한승윤찬희194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1년 12월 8일[24]백현우문민종259수 흑 불계승
최종전2021년 12월 27일윤찬희백현우214수 백 불계승
본선 진출

조한승(조 1위), 윤찬희(조 2위) /
탈락

문민종(2패), 백현우(1승 2패)

2.3.2. 본선[편집]


  • 도전기 직행 : 신진서(2기 우승)
  • 대회 시드 : 박정환(2기 준우승), 변상일(2기 풀리그 2위), 강동윤(2기 풀리그 3위), 신민준(2기 풀리그 4위)
  • 선발전 통과자 : 조한승, 홍무진, 윤찬희, 허영락
  • 와일드카드(후원사 시드) : 이창석[25]

본선은 대회시드 4명[26](박정환, 변상일, 강동윤, 신민준), 모든 선발전 통과자 4명(조한승, 홍무진, 윤찬희, 허영락), 와일드카드인 이창석의 구성으로 9인 풀리그로 치러지며 풀리그 1위가 디펜딩 챔피언 신진서와 도전기 5번기를 치르게 된다. 대진은 1월 18일 대진지명식[27]을 가지면서 확정된다. 대진 추첨은 랭킹 역순으로 1라운드 상대를 지목하고 2라운드는 반대로 랭킹 순으로 상대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28] 3라운드 부터 9라운드까지 대진은 랜덤 추첨으로 결정된다.

  • 1~2라운드 대진 지명 결과
- 1R 대진(랭킹역순 지목) - 허영락 → 강동윤, 조한승 → 박정환, 윤찬희 → 신민준, 이창석 → 변상일 / 홍무진 휴번 선택
- 2R 대진(랭킹순 지목) - 박정환 → 홍무진, 신민준 → 조한승, 이창석 → 허영락, 강동윤 → 윤찬희 / 변상일 휴번 선택
제3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최종 순위표
순위기사명비고[29]결과
1신민준714R 승도전권 획득
2변상일714R 패차기 본선시드
3이창석536R 승, 4R 패, 재대국 2R 승
4박정환533R 승, 6R 패, 재대국 1R 승
5강동윤534R 승, 3R 패, 재대국 2R 패탈락
6윤찬희35
7허영락265R 승
8홍무진265R 패
9조한승08풀리그 전패
초록색 : 차기 본선 시드 확보
[ 본선 풀리그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라운드
구분
휴식개시일자
(12시 시작[1])
대진결과
1R홍무진1월 24일윤찬희신민준226수 백 불계승
1월 25일강동윤허영락144수 백 불계승
1월 26일조한승박정환169수 흑 불계승
2월 3일[A]변상일이창석140수 백 불계승
2R변상일2월 14일박정환홍무진191수 흑 불계승
2월 15일조한승신민준155수 흑 불계승
2월 16일강동윤윤찬희186수 백 불계승
2월 28일이창석허영락329수 흑 1집반승
3R이창석2월 17일홍무진변상일212수 백 불계승
3월 1일조한승윤찬희159수 흑 불계승
3월 2일신민준허영락142수 백 불계승
3월 3일강동윤박정환212수 백 불계승
4R박정환3월 14일강동윤이창석132수 백 불계승
3월 15일윤찬희홍무진210수 백 불계승
3월 16일조한승허영락353수 백 반집승[2]
3월 17일변상일신민준126수 백 불계승
5R[3]신민준3월 28일강동윤변상일99수 흑 불계승[4]
3월 29일조한승이창석180수 백 불계승
3월 30일홍무진허영락100수 백 불계승
4월 7일박정환윤찬희126수 백 불계승
6R윤찬희4월 4일변상일허영락203수 흑 불계승
4월 5일조한승강동윤125수 흑 불계승
4월 6일신민준홍무진192수 백 불계승
4월 14일[A]박정환이창석202수 백 불계승
7R조한승4월 11일윤찬희변상일165수 흑 불계승
4월 12일이창석신민준179수 흑 불계승
4월 13일홍무진강동윤강동윤 기권승[5]
4월 27일[A]박정환허영락116수 백 불계승
8R강동윤4월 19일조한승변상일160수 백 불계승
4월 20일[6]윤찬희허영락271수 백 2집반승
4월 28일이창석홍무진190수 백 불계승
5월 2일박정환신민준177수 흑 불계승
9R허영락5월 3일조한승홍무진248수 백 3집반승[7]
5월 4일[A]강동윤신민준172수 백 불계승[8]
5월 5일윤찬희이창석147수 흑 불계승
5월 6일변상일박정환210수 백 불계승[9]

[1] 1~4라운드까지는 오후 1시에 시작했으나 5라운드 부터 12시에 대국을 개시하는 것으로 변경됐다.[A] A B C D 이 날은 이상헌 五단이 해설을 맡았다.[2] 이번 대회 최장시간, 최장 수수 대국이다. 7시에 대국이 끝나서 무려 6시간이 걸렸다.[3] 5라운드 대국부터 낮 12시에 시작한다.[4] 이번 대회 최단수수 대국이 됐다.[5] 홍무진 선수가 교통체증으로 인해 대국장인 판교 K바둑 스튜디오에 오지 못하여 기권패 처리가 됐다. 대국 시작 후 15분 내로 오지 못할 경우 기권으로 처리된다.[6] 이 날은 김규리 캐스터가 진행했다.[7] 이 대국에서 패한 조한승은 본선 8전 전패로 대회를 마무리하고 말았다.[8] 신민준은 이 대국에서 승리로 자력으로 풀리그 1위를 확정하며 도전권을 획득했다. (변상일이 마지막 경기를 이겨도 승자승에서 신민준이 앞선다.)[9] 변상일은 이 대국 승리로 풀리그 2위를 확정했다. 그리고 박정환이 패배하면서 5승 3패자가 3명(강동윤, 박정환, 이창석)이 발생하여 시드권 두 장을 두고 역토너먼트 방식으로 3자 동률 재대국을 진행한다.
[ 동률 재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동률 재대국 (차기 본선시드 2장, 3인 역토너먼트[1])
1R (5월 16일)2R (5월 18일)
박정환이창석이창석강동윤
154수 백 불계승117수 흑 불계승
차기 본선시드

박정환 (1R 승자), 이창석 (2R 승자) /
탈락

강동윤 (2R 패자)

[1] 대진 추첨을 통해 1라운드를 치를 선수들과 1라운드 부전을 결정한 뒤 재대국을 실시한다. 1R 대국에서 승자가 차기 본선시드를 먼저 확보하며, 1R 패자는 부전으로 기다리는 선수와 2라운드를 치러 차기 본선시드의 마지막 한 자리를 결정한다.


제3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도전 5번기
신진서 (타이틀 홀더) 3 : 1 신민준 (풀리그 1위)
대국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6월 2일신민준신진서260수 백 불계승[30]
2국6월 3일신진서신민준213수 흑 불계승
3국6월 6일신민준신진서231수 흑 불계승[31]
4국6월 7일신진서신민준197수 흑 불계승
5국6월 9일3:1로 종료되어 해당사항 없음
우승신진서 九단 (타이틀 방어, 최고 기사 결정전 3연패)

본선 풀리그에서는 지난 시즌 전기 시드를 받은 4인(박정환, 변상일, 강동윤, 신민준)이 강세를 보였으나 하위랭커의 이변도 발생하면서 물고 물리는 상황으로 이어져 막판엔 4자 동률 재대국 가능성까지 나올 정도였다.[32] 하지만 신민준이 6라운드 홍무진전 패배를 제외하고는 좋은 내용을 보여준 끝에 풀리그 1위로 도전권 경쟁의 최후의 승자가 됐다. 또한 풀리그 결과 차기시드 2자리가 가려지지 않은채 끝나면서 쏘팔코사놀배 출범이래 처음으로 동률 재대국이 열리게 됐다. 동률 재대국 결과 박정환과 이창석이 차기 시드를 확보했다. 반면 조한승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본선 리그 전패를 기록하고 말았다.

도전 5번기는 전기 타이틀 홀더 신진서에게 풀리그 1위 신민준이 도전장을 던지며 '양신(兩申) 대결'이 성사됐다. 양신의 5번기 대결은 이번이 처음이다. 1~3국 내내 미세한 승부가 펼쳐졌었는데[33] 신진서가 두 판을 먼저 선점하며 유리한 고지를 점했고, 3국에서 신민준이 반격했으나 4국에서 신진서가 완승을 거두며 최종 3승 1패로 신진서가 대회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함과 동시에 타이틀 방어에 다시 한 번 성공했다.

시상식은 6월 9일에 한국기원에서 진행됐다. 이 날 시상식에서 준우승자 신민준 九단에 대한 시상은 코미디언 엄영수가, 우승자 신진서 九단에 대한 시상은 쏘팔코사놀의 광고 모델인 가수 남진이 맡았으며 시상자들에게 두 기사가 싸인 바둑판을 전달하는 행사를 가졌다.[34]

[22] 3기 대회 선발전 최대 이변이 벌어졌다. 김지석이 2패로 조기에 탈락하면서 지난 시즌 본선에서 탈락해 내려온 5명의 기사들(김지석, 이창석, 강승민, 설현준, 이창호)이 모두 선발전에서 고배를 마시게 됐다. 다만 와일드카드가 누구에게 가느냐에 따라 구제 가능성도 있다.[23] 2021년 7월에 입단한 허영락 初단이 공식 대국 40전(기사회 리그 제외시 24전)만에 처음으로 본격 기전 본선에 진출했다.[24] 유튜브 스트리밍의 경우 설정상 등의 문제로 원활히 스트리밍이 되지 못했다.[25] 지난 대회(2기) 풀리그 5위, 1차 선발전에서 탈락했으나 와일드카드 시드를 받게 되어 2기에 이어 3기 대회에도 출전하게 됐다.[26] 전 대회 준우승자 + 리그 2~4위[27] 이 대회부터 1~2라운드 대진을 선수들이 지명을 해서 대진을 짜게 된다. (대진 지명식에서 변상일은 크라운해태배 대국 일정으로 인해 화상연결로 참여했다.)[28] 여기서 1~2라운드 둘 다 지목당한 선수는 대진을 바꿀 권한을 줬는데 지목 당한 선수가 겹치지 않아 사용되지 않았다.[29] 승자승 및 특이사항[30] 신민준이 반집 진걸 알고 돌을 거뒀다.[31] 신진서가 반집 진걸 알고 돌을 거뒀다.[32] 4자 대국 가능성은 있을 수 없다. 신민준이 강동윤과 경기에서 지고 박정환이 변상일에게 승리했다면 6승 2패자 4명이 발생하는데, 신민준과 박정환이 4자간 경기에서 2승 1패를 기록하였고, 신민준이 박정환을 꺾었으므로 승자승 원칙에서 신민준이 1위가 되어 도전권을 얻게 된다.[33] 1~3국의 경우 1국과 3국은 반집, 2국은 1집반 차이라서 계가까지 갈 수 있었으나 패한 선수쪽에서 형세 판단을 해보고 도저히 안된다고 판단하여 패배를 인정하고 돌을 거뒀다.[34] 신진서는 6월 3일 진행된 도전5번기 2국에 사용된 바둑판을 남진에게 전달했으며 신민준은 6월 7일 진행된 도전5번기 4국에 사용된 바둑판을 엄영수에게 전달했다.


2.4. 제4회 대회 (2023년)[편집]



2.4.1. 선발전[편집]


  • 이번 대회는 3차로 나눠 선발전을 시행하며 제한시간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3회로 진행한다.
  • 1차 예선은 2022년 12월 12일 부터 시작하며 12월 14일까지 1차 예선을 진행한다. 1차 예선은 28개조 토너먼트로 진행한다.(1차 예선 대진표)
- 1차 예선 수순 및 한프바 중계
날짜중계경기흑번백번결과
12/12수순6조 1회전김형우현유빈241수 흑 불계승
15조 1회전김상천조승아172수 흑 반집승
한프바7조 1회전강우혁박소율131수 흑 불계승
17조 1회전김수진안조영211수 흑 불계승
12/13수순7조 2회전강우혁오유진201수 흑 불계승
28조 2회전최광호오병우181수 흑 불계승
12/14수순10조 결승박현수김은지200수 백 불계승
  • 2차 예선은 1차 예선을 통과한 28명과 2차예선 시드 28명, 총 56명이 7개조 토너먼트로 대결하여 최종 예선 진출자 7명을 가린다.(2차 예선 대진표) 각조 8강전은 12월 23일[35], 각조 준결승은 12월 26일[36], 각조 결승은 12월 30일[37]에 진행한다. 통과자는 다음과 같다.
1조2조3조4조5조6조7조
박종훈박지현박진솔정서준홍성지김정현문민종

  • 최종 예선은 2차 예선 통과자 7명과 랭킹상위자(김명훈, 박건호, 원성진, 안성준, 박민규) 그리고 지난 대회 본선 9인 풀리그에서 탈락한 선수들(조한승, 홍무진, 윤찬희, 허영락)이 출전한다.[38] 총 16명이 대결하며 토너먼트로 본선 출전자 4명을 선발한다. 최종 예선은 K바둑에서 전 경기 방송대국으로 진행한다. (최종예선 대진표)
라운드일정대진결과
16강2023년 1월 8일홍성지조한승158수 백 불계승
2023년 1월 9일김명훈문민종215수 흑 불계승
2023년 1월 10일정서준허영락285수 흑 불계승[39]
2023년 1월 11일박진솔안성준218수 백 불계승[40]
2023년 1월 12일박민규박종훈207수 흑 불계승
2023년 1월 13일원성진김정현189수 흑 불계승
2023년 1월 14일윤찬희홍무진203수 흑 불계승[41]
2023년 1월 15일박건호박지현169수 흑 불계승
8강[42]
(예선결승)
2023년 1월 16일원성진홍무진183수 흑 불계승
2023년 1월 18일홍성지박진솔217수 흑 불계승
2023년 1월 19일김명훈박민규194수 백 불계승
2023년 1월 20일허영락박건호273수 훅 반집승[43]

2.4.2. 본선[편집]



본선은 대회시드 4명[44](신민준, 변상일, 이창석, 박정환), 모든 선발전 통과자 4명(원성진, 박진솔, 박민규, 박건호), 와일드카드인 최정의 구성으로 9인 풀리그로 치러지며 풀리그 1위가 디펜딩 챔피언 신진서와 도전기 5번기를 치르게 된다. 대진은 2월 2일 대진지명식을 가지면서 확정된다.[45] 1~2라운드는 대진 지명식 결과에 따라 진행하며 3라운드부터는 추첨으로 대진을 결정한다.
  • 대진 지명식 결과[47]
    • 1R 대진 지명 결과(랭킹 역순) : 이창석 → 박정환 / 박진솔 → 변상일 / 박민규 → 박건호 / 최 정 → 원성진 / 신민준 휴번 자동 배정
    • 2R 대진 지명 결과(랭킹 순) : 박정환 → 신민준 / 박건호 → 원성진 / 최 정 → 이창석 / 박민규 → 박진솔 / 변상일 휴번 선택
    • 대진 지명 변경[46] : 2R - 원성진 → 변상일 (2라운드 휴번을 하는 선수가 변상일에서 박건호로 변경) / 신민준 → 박진솔 (박민규는 2라운드에서 박정환과 대국을 하는 것으로 변경)
  • 본선은 2월 27일 부터 매주 월~목 오후 1시에 진행한다.
  • 중계 - 캐스터 : 장혜연, 김규리 / 해설 : 안형준 五단, 송태곤 九단
제4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최종 순위표
순위기사명비고[48]결과
1박정환80풀리그 전승도전권 획득
2변상일535R, 6R 승리차기 본선 시드
3박민규536R 패배, 7R 승리
4이창석535R, 7R 패배
5신민준44탈락
6원성진356R 승리
7박건호356R 패배
8박진솔26
9최정17
초록색 : 차기 본선 시드 확보
[ 본선 풀리그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라운드
구분
휴식개시일자
(13시 시작)
대진결과
1R신민준2월 27일최 정원성진230수 백 불계승
2월 28일박진솔변상일232수 백 불계승
3월 1일이창석박정환194수 백 불계승
3월 2일박민규박건호159수 흑 불계승
2R박건호3월 6일박정환박민규149수 흑 불계승
3월 7일최 정이창석352수 흑 7집반승[1]
3월 8일신민준박진솔278수 흑 반집승
3월 9일원성진변상일177수 흑 불계승
3R박민규3월 13일박건호이창석146수 백 불계승
3월 14일박정환최 정159수 흑 불계승
3월 15일원성진박진솔188수 백 불계승
3월 16일변상일신민준326수 백 1집반승
4R변상일3월 20일박정환원성진228수 백 불계승
3월 21일신민준이창석283수 백 반집승
3월 22일박건호최 정224수 백 불계승
3월 23일박민규박진솔208수 백 불계승
5R원성진3월 27일박정환박건호174수 백 불계승
3월 28일최 정박진솔231수 흑 불계승[2]
3월 29일변상일이창석137수 흑 불계승
3월 30일신민준박민규177수 흑 불계승
6R박정환4월 3일신민준최 정257수 흑 불계승
4월 4일이창석박진솔229수 흑 불계승
4월 5일변상일박민규155수 흑 불계승
4월 6일원성진박건호217수 흑 불계승
7R최 정4월 10일박정환박진솔181수 흑 불계승
4월 11일신민준원성진316수 흑 반집승
4월 12일이창석박민규348수 흑 4집반승
4월 13일변상일박건호193수 흑 불계승[3]
8R이창석4월 17일박건호박진솔239수 흑 불계승
4월 18일변상일최 정307수 흑 불계승
4월 26일원성진박민규318수 흑 6집반승
4월 27일박정환신민준178수 백 불계승[4]
9R[5]박진솔5월 1일원성진이창석239수 흑 불계승[6]
5월 2일신민준박건호195수 흑 불계승
5월 3일최 정박민규166수 백 불계승[7]
5월 15일박정환변상일232수 백 불계승

[1] 이번 대회 최장 수수[2] 최정은 이 승리로 대회 첫 승과 함께 최근 전체기전 7연패의 늪에서 탈출했다.[3] 이 날 패배로 변상일의 도전권 자력 획득 가능성은 사리지게됐다. 변상일이 다음 경기인 8라운드에서 최정에게 패하거나 박정환이 자력으로 8라운드에서 신민준을 잡을 경우 남은 대국과 관계 없이 박정환이 도전권을 확정지으며 신진서의 도전 5번기 상대가 된다.[4] 박정환은 이 대국 승리로 남은 경기와 상관 없이 풀리그 전체 1위도전권을 획득하며 신진서의 도전 5번기 상대로 결정됐다.[5] <재대국 경우의 수>
1. 이창석(vs 원성진), 박민규(vs 최정) 모두 패배 : 원성진, 이창석, 박민규, 신민준-박건호 대국의 승자로 4승 4패자가 4명이 되어 4인 동률 재대국이 성사된다.
2. 이창석 승, 박민규 패 : 이창석은 시드 확정, 원성진은 3승 5패로 탈락이 확정되며 박민규와 신민준-박건호 승자가 재대국을 진행한다.
3. 박민규 승, 이창석 패 : 박민규는 시드 확정 신민준-박건호 승자와 원성진, 이창석이 4승 4패로 3자 동률 재대국이 열린다.
4. 이창석과 박민규가 모두 승리 할 경우 재대국 없이 차기 시드 확정.
[6] 이창석은 이 날 대국 승리로 차기 대회 시드를 확보했다. 이와 동시에 원성진은 3승 5패로 탈락이 확정되면서 4자 동률 재대국 혹은 3자 동률 재대국의 가능성은 사라졌다.[7] 박민규는 이 대국 승리로 차기 시드를 확보했다 동시에 재대국의 모든 경우의 수가 사라지게 됐다.

제4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도전 5번기
신진서 (타이틀 홀더) 3 : 0 박정환 (풀리그 1위)

대국장소 : 판교 K바둑 스튜디오(1~2국) /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아니마떼끄(3국)
대국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5월 22일신진서박정환197수 흑 불계승
2국5월 24일박정환신진서156수 백 불계승
3국6월 27일신진서박정환175수 흑 불계승
4국6월 30일3:0 종료로
해당 사항 없음
5국7월 2일
우승신진서 九단 (타이틀 방어, 최고 기사 결정전 4연패)

본선 풀리그는 박정환이 그야말로 독주체제를 구축해나가며 2기 대회 이후 2년 만에 풀리그 전승으로 도전권을 획득해냈다. 그리고 시드를 걸고 펼친 경쟁에서는 변상일이 일지감치 2위[49]를 확정한 가운데 나머지 두 장을 놓고 5명(신민준, 원성진, 박건호, 박민규, 이창석)의 기사가 싸우는 구도가 나오며 4인 동률 재대국 가능성까지 열린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창석이 지난 대회에 이어 다시 한 번 시드를 확보한데 이어 박민규도 첫 출전에 차기 시드 확보의 성과를 내며 재대국의 가능성을 없앴다. 반면 전기 준우승자 신민준과 이번 대회 최고령 출전 선수였던 원성진, 첫 출전한 박건호는 시드 경쟁에서 고배를 마셨고, 박진솔과 최정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아쉽게 풀리그 일정을 마무리했다.

도전 5번기는 2기 대회에 이어 2년 만에 '신박전'으로 도전기가 펼쳐지게 됐다. 쏘팔코사놀배에서는 1기, 2기에 이여 세 번째로 열리는 신진서와 박정환의 결승 대국이다. 1국에서는 박정환이 우변 수상전에서 착각이 나오면서 신진서에게 바둑이 기을어쟜고, 2국에서는 우상귀에서 진신두 모양이 나올 수 있었으나 박정환이 다른 길로 가면서 바둑이 기울어져 신진서의 완승국으로 마무리 됐다. 강원도 춘천으로 무대를 옮긴 3국에서도 중후반부터 신진서가 우세한 형세를 잡으며 승리를 거두며 신진서가 대회 4연패와 함께 다시 한 번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35] 일부 대진은 사전대국(각조 4경기(1조, 6조, 7조)) 또는 지연대국(3조3경기, 6조2경기)으로 치러진다.[36] 일부 대진은 지연대국(2조1경기, 3조, 5조1경기, 6조, 7조2경기)으로 치러진다.[37] 2/3조 1월 2일, 6/7조 1월 3일, 5조 1월 5일 결정[38] 원래는 전기 풀리그 5위인 강동윤이 출전해야하나 강동윤은 불참을 결정했다. 그래서 랭킹 상위자 몫이 한 명 더 늘었다.[39] 1집반으로 흑이 우세한 분위기에서 계가까지 갈 수 있었으나 정서준 선수가 돌을 거두었다.[40] 안성준이 매우 유리한 바둑을 단 한 수에 그르치고 말았다.[41] 윤찬희가 완벽했던 바둑을 초읽기에 몰리면서 완전히 그르치고 말았다.[42] 8강전 승자가 본선에 진출한다.[43] 이 결과로 지난 시즌 9인풀리그에 출전했으나 탈락해 예선으로 내려온 조한승, 홍무진, 윤찬희, 허영락은 모두 탈락했다.[44] 전 대회 준우승자 + 리그 2~4위[45] 지난 대회와 동일하게 1라운드는 랭킹 역순, 2라운드는 랭킹 순으로 대진 지명을 진행한다.[46] 원성진과 신민준이 지명을 두 라운드 모두 당해서(신민준은 1라운드 휴번 자동 배정으로 지명을 당한 것으로 간주.) 변경권이 주어졌는데 두 선수 모두 대진 변경권을 행사했다.[47] 박건호는 타 기전 일정으로 인해 전화연결로 참여.[48] 승자승 및 특이사항[49] 변상일은 2회대회부터 3연속으로 풀리그 2위로 시드를 받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0:32:31에 나무위키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